'전체'에 해당되는 글 57건
- 2018.03.26 Cockos Reaper 한글 언어팩
- 2018.02.20 pro tools 10에서 rewire프로그램들이 안보일때
- 2018.02.20 우분투 로그인 무한루프
- 2018.02.20 The guest operating system is not Mac OS X Server.
- 2018.02.20 큐베이스 미디 트랙으로부터 코드 뽑기
- 2018.02.20 centos 7 에서 vsftpd 디렉토리/폴더 안보임
- 2018.02.20 centos 7 selinux public_html 억세스 에러날 때
- 2018.02.20 synthesia latency 문제
- 2018.02.18 Text to Cue 변환 프로그램
- 2016.05.05 (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 2016.04.30 dolphin ppa
- 2016.04.28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 2016.04.28 android studio ppa
- 2016.04.28 fcitx
- 2016.04.28 ardour ppa
- 2016.04.28 LMMS vst지원
- 2016.04.28 wine 1.8 ppa
- 2016.04.19 netis extender의 사용
- 2016.04.19 qtractor의 사용
- 2016.04.19 액세스 권한이 부족하여 utorrent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 2016.04.19 grub 부팅 순서 변경
- 2016.04.19 크롬 ppa 설치
- 2016.04.19 우분투 오라클 자바8설치
- 2016.04.19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Unable to run mksdcard SDK tool.
- 2016.04.19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 2016.04.19 you should upgrade to build-tools 21
- 2016.04.19 libreoffice ppa 한글 설치
- 2016.04.19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해시 합이 맞지 않습니다
- 2016.04.19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ibus 1.5.x 에러
- 2016.04.19 apt-get version확인
파일을 다운로드받아서
Korea.ReaperLangPack을 더블클릭하면 Reaper가 자동실행되면서 랭기지팩이 설치된다.
설치후에 Reaper를 재실행해줘야 한글이 적용된다.
영어로 되돌리려면
옵션-설정-일반-일반설정에서 English를 선택하고 OK
Reaper를 재실행시켜주면 영어메뉴로 되돌릴 수 있다.
Korea.ReaperLangPack파일은 일본어 랭기지팩(Reaper 5.7용)을 구글 번역을 사용하여 번역하고 조금 수정한 것이다.
'컴퓨터 IT > 컴퓨터뮤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ckos Reaper 한글 언어팩 (0) | 2018.03.26 |
---|---|
pro tools 10에서 rewire프로그램들이 안보일때 (0) | 2018.02.20 |
큐베이스 미디 트랙으로부터 코드 뽑기 (0) | 2018.02.20 |
synthesia latency 문제 (0) | 2018.02.20 |
Text to Cue 변환 프로그램 (0) | 2018.02.18 |
큐베이스에서 가상키보드의 사용 (0) | 2015.08.07 |
우선 레지스트리를 살펴본다 64비트 os 기준
Go to the HKEY_LOCAL_MACHINE section, then to each of these:
- 32bit: Wow6432Node > Software > Propellerhead Software >ReWire
- 64bit: Software > Propellerhead Software > ReWire
Check if there's an "FL Studio" subkey in each of those. The "Device Path" value should be set to a valid "FLReWire.dll" (32bit) or "FLReWire_x64.dll" (64bit).
정확하게 되어있는데도 프로툴즈 pro tools에서 rewire를 찾지못한다.
아래와 같이 하여 해결하였다. fl studio 가 설치되어있어야한다.
1.Navigate to "C:\Program Files (x86)\Image-Line\FL Studio 12\System\Plugin\ReWire" for 32bit or "C:\Program Files (x86)\Image-Line\FL Studio 12\System\Plugin\ReWire\x64" for 64bit.
2. Copy the "ReWire.dll" from one of those locations.
3. For the 32bit "ReWire.dll" paste it in "C:\Windows\SysWOW64", for the 64bit "ReWire.dll" paste it in "C:\Windows\System32".
Rewire FL Studio 12 from Pro Tools 10 on Windows 10. (Topic) • Image-Line
forum.image-line.com
참고
http://forum.image-line.com/viewtopic.php?f=200&t=147422
'컴퓨터 IT > 컴퓨터뮤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ckos Reaper 한글 언어팩 (0) | 2018.03.26 |
---|---|
pro tools 10에서 rewire프로그램들이 안보일때 (0) | 2018.02.20 |
큐베이스 미디 트랙으로부터 코드 뽑기 (0) | 2018.02.20 |
synthesia latency 문제 (0) | 2018.02.20 |
Text to Cue 변환 프로그램 (0) | 2018.02.18 |
큐베이스에서 가상키보드의 사용 (0) | 2015.08.07 |
환경 설정을 잘못 건드려서
우분투 gui로그인이 무한루프를 돈다.
ctrl-alt-f1
을 눌러서 터미널 상태로 로그인해서 해결
/usr/bin/sudo su 로 슈퍼유저 로그인하여
잘못된 파일들을 수정해준다.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로그인 무한루프 (0) | 2018.02.20 |
---|---|
centos 7 에서 vsftpd 디렉토리/폴더 안보임 (0) | 2018.02.20 |
centos 7 selinux public_html 억세스 에러날 때 (0) | 2018.02.20 |
(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0) | 2016.05.05 |
dolphin ppa (0) | 2016.04.30 |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0) | 2016.04.28 |
The guest operating system is not Mac OS X Server.
vmware 9 에서는 unlocker v130 을 이용하면
snow leopard 가 잘 설치된다.
하지만 vmware 12(혹은 11) 등에서 unlocker v2.0.8 을 설치후
snow leopard 를 설치하면
The guest operating system is not Mac OS X Server.
라는 에러를 낸다.
일단 vmware 12 에서 mac os x 10.6 server 로 가상기계를 등록한 후에
생성된 .vmx파일을 편집기로 열어서
마지막에
efi64.filename = "efi64-srvr.rom"
를 추가해준다.
(32비트의 경우에는 eft32-srvr.rom)
efi64-srvr.rom 파일을 vmx파일과 같은 폴더에 복사하여준다.
unlocker 2.0.8에는 rom파일이 없으므로
unlocker 2.0.7 을 이용해서 설치한다.
(파일이름 : unlocker207.zip 구글 검색해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rom 파일은 unlocker 2.0.7의 압축을 풀면 firmware폴더 밑에 있다.
참고 : https://elab.exbrain.jp/vmware-workstation-12-player%E3%81%ABsnow-leopard%E3%82%92%E3%82%A4%E3%83%B3%E3%82%B9%E3%83%88%E3%83%BC%E3%83%AB%E3%81%99%E3%82%8B/
http://www.insanelymac.com/forum/files/file/339-unlocker/
'컴퓨터 IT > 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guest operating system is not Mac OS X Server. (0) | 2018.02.20 |
---|---|
xcode 3.2.6 installation failed (0) | 2015.03.10 |
mac os x 이클립스 c/c++ 실행-디버그 안됨 (0) | 2014.11.28 |
asus b85m-g 해킨토시 (0) | 2014.07.10 |
미디파일을 불러온다
코드를 알고자하는 미디 트랙을 선택
Project메뉴에서 Chord Track-Make Chords를 선택하면 끝.
큐베이스 7 이상에서만 실행되는 듯.
'컴퓨터 IT > 컴퓨터뮤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ckos Reaper 한글 언어팩 (0) | 2018.03.26 |
---|---|
pro tools 10에서 rewire프로그램들이 안보일때 (0) | 2018.02.20 |
큐베이스 미디 트랙으로부터 코드 뽑기 (0) | 2018.02.20 |
synthesia latency 문제 (0) | 2018.02.20 |
Text to Cue 변환 프로그램 (0) | 2018.02.18 |
큐베이스에서 가상키보드의 사용 (0) | 2015.08.07 |
centos 7 에서 vsftpd 디렉토리/폴더 안보임 현상이 나타났다.
검색을 한참 해보니 역시나 selinux때문이다.
간단한 해결방법은 selinux를 off시키는 방법이지만
그렇게 해결하고싶지는 않음.
또 검색해보니
setsebool -P ftp_home_dir=1
라고 하면 해결된다지만 역시 안되었다.
Boolean ftp_home_dir is not defined
라고 나옴
getsebool -a 명령으로 보니 ftp_home_dir 이라는 값 자체가 없다. centos 7.3에서 빠진것인지 7에서 빠진 것인지 모르겠다.
찾아보니 ftpd_full_access 라는 값이 있다.
setsebool -P ftpd_full_access=1
라는 명령으로 해결.
systemctl restart vsftpd.service
해주니 잘 된다.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로그인 무한루프 (0) | 2018.02.20 |
---|---|
centos 7 에서 vsftpd 디렉토리/폴더 안보임 (0) | 2018.02.20 |
centos 7 selinux public_html 억세스 에러날 때 (0) | 2018.02.20 |
(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0) | 2016.05.05 |
dolphin ppa (0) | 2016.04.30 |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0) | 2016.04.28 |
setsebool -P httpd_enable_homedirs true
chcon -R -t httpd_sys_content_t /home/유저아이디/public_html
그누보드5 data 폴더 접근 안될때
chcon -R -t httpd_sys_rw_content_t /home/유저아이디/public_html/data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로그인 무한루프 (0) | 2018.02.20 |
---|---|
centos 7 에서 vsftpd 디렉토리/폴더 안보임 (0) | 2018.02.20 |
centos 7 selinux public_html 억세스 에러날 때 (0) | 2018.02.20 |
(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0) | 2016.05.05 |
dolphin ppa (0) | 2016.04.30 |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0) | 2016.04.28 |
synthesia로 키보드연습을 하다보니
latency가 문제가 되더라.
키를 누르고 난 이후에 딜레이가 발생.
synthesia가 asio를 지원하지않고
ms gs wavetable synth가 속도가 느리다.
해결 방법은
fl studio에 midi리디렉션을 이용하는 방법과
virtualmidisynth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후자가 더 간단하고 더 잘된다.
ps) synthesia 웹사이트의 설명을 추가함.
The built-in Windows synth is slow and doesn't sound great.
Use your keyboard's synth or a free software driver.
If your keyboard has an on-board synth, that's usually your best bet. It will be the fastest and usually sounds pretty nice.
Next, Windows 10 just updated their synth for the first time in over 20 years and now it's much lower latency. Download the latest version of Synthesia to start using the new synth.
Otherwise, one great (and free!) alternative is using a software MIDI driver and a "Sound Font" to go with it.
CoolSoft has made an easy to use MIDI synth called VirtualMIDISynth. Here's how to get it up and running in Synthesia:
Download VirtualMIDISynth from the CoolSoft site.
Download one of the recommended SoundFonts from the same page.
Install VirtualMIDISynth, then extract/install the SountFont someplace convenient.
Run the "Configure VirtualMIDISynth" start menu program, click the plus icon, find the .SF2 SoundFont file, then click OK.
On the "Advanced options" tab, lower the "Additional output buffer" setting as low as you can. Zero is fastest, but you might have to determine what's best for your system experimentally.
Once you've done that, you'll see a new output device on the Keyboard Setup screen in Synthesia named "CoolSoft VirtualMIDISynth". It should be much faster and sound better than the built-in Windows synth.
http://www.synthesiagame.com/support/faq
https://coolsoft.altervista.org/en/virtualmidisynth
'컴퓨터 IT > 컴퓨터뮤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 tools 10에서 rewire프로그램들이 안보일때 (0) | 2018.02.20 |
---|---|
큐베이스 미디 트랙으로부터 코드 뽑기 (0) | 2018.02.20 |
synthesia latency 문제 (0) | 2018.02.20 |
Text to Cue 변환 프로그램 (0) | 2018.02.18 |
큐베이스에서 가상키보드의 사용 (0) | 2015.08.07 |
cockos reaper 에서 musescore 2 의 악보기능 사용 (0) | 2015.08.05 |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서 직접 제작한 단순한 프로그램이다.
유튜브를 자주 이용하는 경우에 왜 이런 것이 필요한 지 잘 이해할 것임...
text파일을 읽어서
cue파일로 만들어준다.
cue파일은 mp3를 분리해주는 파일인데
cue파일을 이용해서 mp3파일을 분리하기보다는
트랙 단위로 재생하기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만듦.
text파일의 형식은 다음과 같아야 변환이 됨.
=============
txt파일의 인코딩은 euc-kr이어야함.
txt파일의 이름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가수이름 - 앨범제목.txt
가수이름과 앨범제목은 " - "의 형태로 분리되어있어야함
이를테면 텍스트파일의 이름은
홍길동 - 홍길동1집.txt
mp3파일의 이름은
홍길동 - 홍길동1집.mp3
이렇게 똑같아야한다.
txt 파일의 내용은
00:01 1.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못하고 (홍길동 작사/홍길동 작곡)
03:38 2. 호부호형을 허하노라 (홍상직 작사/홍상직 작곡)
07:14 3. 호부호형이 무슨 소용 (홍길동 작사/홍길동 작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Search Text File을 눌러서 파일을 선택한 다음
Text to Cue Convert를 눌러서 변환하면 된다.
'컴퓨터 IT > 컴퓨터뮤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베이스 미디 트랙으로부터 코드 뽑기 (0) | 2018.02.20 |
---|---|
synthesia latency 문제 (0) | 2018.02.20 |
Text to Cue 변환 프로그램 (0) | 2018.02.18 |
큐베이스에서 가상키보드의 사용 (0) | 2015.08.07 |
cockos reaper 에서 musescore 2 의 악보기능 사용 (0) | 2015.08.05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큐베이스에서 미디 midi 입력 등 으로 사용하기 (0) | 2015.08.03 |
(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 컴퓨터 IT/리눅스 2016.05.05 22:34(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gksu gedit test.txt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에서 vsftpd 디렉토리/폴더 안보임 (0) | 2018.02.20 |
---|---|
centos 7 selinux public_html 억세스 에러날 때 (0) | 2018.02.20 |
(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0) | 2016.05.05 |
dolphin ppa (0) | 2016.04.30 |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0) | 2016.04.28 |
android studio ppa (0) | 2016.04.28 |
g++ 먼저 설치
sudo apt-add-repository ppa:ubuntu-toolchain-r/test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g++-4.9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lphin-emu-master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selinux public_html 억세스 에러날 때 (0) | 2018.02.20 |
---|---|
(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0) | 2016.05.05 |
dolphin ppa (0) | 2016.04.30 |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0) | 2016.04.28 |
android studio ppa (0) | 2016.04.28 |
fcitx (0) | 2016.04.28 |
이클립스 eclipse for php developer 를 설치하고
디버거를 zend debugger로 선택하면
에러가 뜬다.
일단 help-install new software에서 zend debugger를 설치하고
zend.com에서 리눅스용 zend debugger(ZendDebugger-linux-x86_64.tar.gz)파일을 다운로드하고
파일을 풀어서 나오는 dummy.php 파일은 사용하려는 사이트의 루트에 복사해주고
ZendDebugger.so파일은 /usr/lib/php/20121212 밑에 복사해주었다.
그리고
/etc/php5/apache2/php.ini 파일을 수정
================================
zend_extension=/usr/lib/php5/20121212/ZendDebugger.so
[zend_debugger]
zend_debugger.allow_hosts = 127.0.0.1
zend_debugger.expose_remotely = always
================================
를 추가해주었다.
그리고
phpinfo();
를 불러서 살펴보면 zend debugger 항목이 보인다.
그런데!
디버거만 쓰면 안되고 당연하게도 zend guard loader도 써야한다.
zend.com에서 zend-loader-php5.5-linux-x86_64.tar.gz를 다운로드 받았다.
압축을 풀어보면
ZendGuardLoader.so 와 opcache.so 가 나온다.
그래서 이렇게 다시 php.ini파일을 수정.
; Enable Zend Debugger extension module
zend_extension=/usr/lib/php5/20121212/opcache.so
zend_extension=/usr/lib/php5/20121212/ZendGuardLoader.so
zend_extension=/usr/lib/php5/20121212/ZendDebugger.so
[zend_debugger]
zend_debugger.allow_hosts = 127.0.0.1
zend_debugger.expose_remotely = always
[zend_loader]
zend_loader.enable=1
zend_loader.disable_licensing=0
zend_loader.obfuscation_level_support=3
이렇게 해주었다.
그런데?
sudo service apache2 restart 를 해주면
에러가 난다!
왜지???
그래서 /var/log/apache2/error.log를 살펴본다.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이렇게 나온다.
도무지 알 수가 없는데
이것을 해결하지않고 아파치가 실행이 되어도
phpinfo();에서 보면
디버거거 DIABLED되었다고 나온다.
어디에선가 opcache가 먼저 설정된 부분이 있다.
찾아본다.
/etc/php5/apache2/conf.d 폴더로 들어가보면
05-opcache.ini -> ../../mods-available/opcache.ini
모든 것이 제대로 설정되었다.
이클립스에서 디버거도 제대로 작동되었다.
php5의 mod enable 부분은 좀 더 깔끔하게 처리하는 방법이 있을 듯. 알아봐야할 부분.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dit:1495): Gtk-WARNING **: Calling Inhibit failed: GDBus.Error:org.freedesktop.DBus.Error.ServiceUnknown: The name org.gnome.SessionManager was not provided by any .service files (0) | 2016.05.05 |
---|---|
dolphin ppa (0) | 2016.04.30 |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0) | 2016.04.28 |
android studio ppa (0) | 2016.04.28 |
fcitx (0) | 2016.04.28 |
ardour ppa (0) | 2016.04.28 |
sudo add-apt-repository ppa:paolorotolo/android-studio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ndroid-studio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lphin ppa (0) | 2016.04.30 |
---|---|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0) | 2016.04.28 |
android studio ppa (0) | 2016.04.28 |
fcitx (0) | 2016.04.28 |
ardour ppa (0) | 2016.04.28 |
LMMS vst지원 (0) | 2016.04.28 |
sudo apt-get install fcitx-hangul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Zend OPcache must be loaded before Zend Debugger (0) | 2016.04.28 |
---|---|
android studio ppa (0) | 2016.04.28 |
fcitx (0) | 2016.04.28 |
ardour ppa (0) | 2016.04.28 |
LMMS vst지원 (0) | 2016.04.28 |
wine 1.8 ppa (0) | 2016.04.28 |
http://ubuntuhandbook.org/index.php/2015/05/how-to-install-ardour-4-in-ubuntu-14-04/
sudo add-apt-repository ppa:dobey/audiotools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rdour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studio ppa (0) | 2016.04.28 |
---|---|
fcitx (0) | 2016.04.28 |
ardour ppa (0) | 2016.04.28 |
LMMS vst지원 (0) | 2016.04.28 |
wine 1.8 ppa (0) | 2016.04.28 |
qtractor의 사용 (0) | 2016.04.19 |
https://lmms.io/download/#linux
http://kxstudio.linuxaudio.org/Repositories#Ubuntu
링크내용이 수시로 바뀌니 반드시 확인하고 설치할 것.
All Debian and Ubuntu users can enable our repositories by installing this deb file: kxstudio-repos.deb.
You can install it manually by running this:
# Install required dependencies if needed
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software-properties-common wget
# Download package file
wget https://launchpad.net/~kxstudio-debian/+archive/kxstudio/+files/kxstudio-repos_9.2.2~kxstudio1_all.deb
# Install it
sudo dpkg -i kxstudio-repos_9.2.2~kxstudio1_all.deb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lmms
sudo apt-get install lmms-vst-full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citx (0) | 2016.04.28 |
---|---|
ardour ppa (0) | 2016.04.28 |
LMMS vst지원 (0) | 2016.04.28 |
wine 1.8 ppa (0) | 2016.04.28 |
qtractor의 사용 (0) | 2016.04.19 |
grub 부팅 순서 변경 (0) | 2016.04.19 |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wine1.8 winetricks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our ppa (0) | 2016.04.28 |
---|---|
LMMS vst지원 (0) | 2016.04.28 |
wine 1.8 ppa (0) | 2016.04.28 |
qtractor의 사용 (0) | 2016.04.19 |
grub 부팅 순서 변경 (0) | 2016.04.19 |
크롬 ppa 설치 (0) | 2016.04.19 |
netis extender 엑스텐더
무선인터넷 사용범위 확장기라고나 할까.
설명서가 너무 부실했다.
그래서 나중에 다시 보기를 위해서 기록해놓는다.
1. netis extender의 전원을 연결한다.
2. 우선 기존 유무선 공유기(나의 경우는 오래된 모델 axler rt-tse)의 wps기능을 켜야한다.
기본 설정 값은 꺼짐 상태이기 때문에
192.168.0.1로 접속해서
무선메뉴에서 wps설정 메뉴를 선택 wps끄기의 체크를 없애고 설정변경
wps가 켜진다.
(wps기능이 없는 공유기는 netis extender를 사용할 수 없다.)
3. pbc방식-무선 장치 추가를 클릭한다.
그러면 120초 동안 무선 장치를 찾는다.
(이건 기존 유무선 공유기의 wps버튼을 3초동안 누른 것과 같은 효과라고 하는데
wps버튼을 누르는 것보다는 접속메뉴에서 선택하는 것이 더 비주얼적으로
확실하게 보이니까 더 나은 것 같다.)
4. netis extender의 바닥에 있는 버튼 (하나 밖에 없다)을
몇초동안 눌렀다 뗀다.
아마 5초 정도는 되야되는 것 같다.
5. netis extender의 wps램프와 sys램프가 동시에 여러번 깜빡인다.
(만약에 wps램프와 sys램프가 동시에 깜빡이지않고 번갈아가면서 깜빡이면
잘못된 것이니 3번부터 다시 시도한다.)
6. 깜빡이던 것이 꺼진다. 이러면 연결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진짜로 연결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7. 연결확인을 위한 단계.
해당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으로 간다.
윈도우 8의 경우 제어판-네트워크 및 공유센터에서 해당 연결 클릭(이를테면 "이더넷2")
8. 이더넷 상태 창이 뜨면 속성 클릭
9. 네트워킹 탭의 맨 아래에 TCP/ipv4를 선택 하고 속성 클릭
10. 새로 뜬 창에서 다음 ip주소 사용을 선택하고
ip주소 : 192.168.1.10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192.168.1.254
를 적어주고 확인
11. 웹브라우저에서 192.168.1.254로 접속한다.
12. netis extender가 제대로 작동중이면 netis설정 화면이 나올 것이고
아니면 접속할 수 없다고 나올 것이다. (제대로 안되면 1번부터 다시 시도)
13. netis설정화면에서 아래쪽의 저장을 클릭.
14. 성공했으면 다시 해당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으로 간다.
윈도우 8의 경우 제어판-네트워크 및 공유센터에서 해당 연결 클릭(이를테면 "이더넷2")
15. 이더넷 상태 창이 뜨면 속성 클릭
16. 네트워킹 탭의 맨 아래에 TCP/ipv4를 선택 하고 속성 클릭
17. 자동으로 ip주소 받기를 클릭하고 확인을 클릭해준다.
18. 즐겁게 확장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한다.
'컴퓨터 IT >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is extender의 사용 (0) | 2016.04.19 |
---|---|
액세스 권한이 부족하여 utorrent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0) | 2016.04.19 |
ctasio warning 제거 (0) | 2015.06.26 |
osversion'의 값이 잘못되었습니다 (0) | 2012.10.31 |
acrobat reader에서 특정한 페이지만 인쇄하기 (0) | 2010.01.20 |
윈도 2003에서 원격데스크탑 포트 변경 (0) | 2009.12.16 |
qtractor는 좋은 프로그램으로 보였다.
audio 녹음, midi 파일 편집이 가능하다.
모든 것이 공짜다.
설치해서 사용하려고 하니 한글로 된 설명이 너무나 부족해서
막막하다.
설정에서 완전히 막힘.
삽질을 하다가 어떻게 하는 것인지 대충 발견.
잊지 않기 위해서 기록해 놓는다.
1. QjackCtrl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이것은 jack server 데몬을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실행하면 jack 데몬이 실행되고 창을 닫으면 데몬이 사라지므로
창을 닫으면 안된다.
2. Qsynth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Fluid R3 사운드 폰트를 설치한다.
이것은 소프트웨어 신서사이저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역시 실행 후에 창을 닫으면 안된다.
setup-sound font에서 fluid r3를 선택한다.
3. 미디키보드를 연결한다.
4. Qtractor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실행하고
view-instruments 에서 /usr/share/sounds/sf2 에서
fluid r3 를 import한다.
view-windows-connections 를 선택
midi 탭 선택
왼쪽 qtractor-master를 오른쪽 fluid synth-synth input port로 연결한다.
왼쪽 midikeyboard1도 오른족 fluid synth-synth input port로 연결한다.
왼쪽 midikeyboard1을 오른쪽 qtractor-master로 연결한다.
5. 메인화면에서 오른쪽 버튼 클릭 add track해준다.
midi를 선택 omni체크 (no inst....)를 fluidR3_GM으로 바꿔준다.
뱅크는 그대로 두고 program을 적절한 악기로 선택한다.
6. 미디 키보드로 입력한다.(virtual midi keyboard를 이용해도 된다.)
끝.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MMS vst지원 (0) | 2016.04.28 |
---|---|
wine 1.8 ppa (0) | 2016.04.28 |
qtractor의 사용 (0) | 2016.04.19 |
grub 부팅 순서 변경 (0) | 2016.04.19 |
크롬 ppa 설치 (0) | 2016.04.19 |
우분투 오라클 자바8설치 (0) | 2016.04.19 |
1. utorrent를 종료한다.
2. utorrent 사이트에서 utorrent 프로그램을 새로 다운로드 받고 설치한다.
3. 설치한 utorrent를 프로그램 제거에서 제거 클릭 후에
제거되는 도중에 설정 파일까지 제거를 체크한 다음 제거한다.
4. 다시 utorrent 프로그램을 새로 설치한다. 깨끗하게 해결된다.
'컴퓨터 IT >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is extender의 사용 (0) | 2016.04.19 |
---|---|
액세스 권한이 부족하여 utorrent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0) | 2016.04.19 |
ctasio warning 제거 (0) | 2015.06.26 |
osversion'의 값이 잘못되었습니다 (0) | 2012.10.31 |
acrobat reader에서 특정한 페이지만 인쇄하기 (0) | 2010.01.20 |
윈도 2003에서 원격데스크탑 포트 변경 (0) | 2009.12.16 |
$ sudo gedit /etc/default/grub
GRUB_DEFAULT=5
GRUB_TIMEOUT=5
$ sudo update-grub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e 1.8 ppa (0) | 2016.04.28 |
---|---|
qtractor의 사용 (0) | 2016.04.19 |
grub 부팅 순서 변경 (0) | 2016.04.19 |
크롬 ppa 설치 (0) | 2016.04.19 |
우분투 오라클 자바8설치 (0) | 2016.04.19 |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0) | 2016.04.19 |
우분투소프트웨어센터에 크로미니엄이 있지만
구글크롬보다 예전 버전이다.
ppa로 최신 버전을 설치한다.
1. wget -q -O - https://dl-ssl.google.com/linux/linux_signing_key.pub | sudo apt-key add -
2. sudo sh -c 'echo "deb http://dl.google.com/linux/chrome/deb/ stable main" >> /etc/apt/sources.list.d/google-chrome.list'
3. sudo apt-get update
W: http://dl.google.com/linux/chrome/deb/dists/stable/Release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Unable to find expected entry 'main/binary-i386/Packages' in Release file (Wrong sources.list entry or malformed file)
라고 나오면
sudo gedit /etc/apt/sources.list.d/google-chrome.list
명령으로
편집기를 열어서 내용을
deb [arch=amd64] http://dl.google.com/linux/chrome/deb/ stable main
라고 수정하고 저장.
sudo apt-get update를 다시 실행
4. sudo apt-get install google-chrome-stable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qtractor의 사용 (0) | 2016.04.19 |
---|---|
grub 부팅 순서 변경 (0) | 2016.04.19 |
크롬 ppa 설치 (0) | 2016.04.19 |
우분투 오라클 자바8설치 (0) | 2016.04.19 |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0) | 2016.04.19 |
libreoffice ppa 한글 설치 (0) | 2016.04.1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openjdk를 쓰지않고 오라클 자바를 써야 한다.
sudo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8-installer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c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ws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ub 부팅 순서 변경 (0) | 2016.04.19 |
---|---|
크롬 ppa 설치 (0) | 2016.04.19 |
우분투 오라클 자바8설치 (0) | 2016.04.19 |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0) | 2016.04.19 |
libreoffice ppa 한글 설치 (0) | 2016.04.19 |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해시 합이 맞지 않습니다 (0) | 2016.04.19 |
Unable to run mksdcard SDK tool.
sudo apt-get install lib32z1 lib32ncurses5 lib32bz2-1.0 lib32stdc++6
실행 후에 다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
'컴퓨터 IT >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Unable to run mksdcard SDK tool. (0) | 2016.04.19 |
---|---|
you should upgrade to build-tools 21 (0) | 2016.04.19 |
윈도우에서 fast boot등으로 시스템을 사용하면
우분투에서 nfts가 제대로 마운트가 안되고
리드온리로 마운트하라는 말이 나온다.
윈도우에서 명령창에서 다음과 같이 하면
다음 부팅시에 우분투에서 제대로 마운트가 된다
shutdown /s /t 0
아예 윈도우에 위 내용으로 batch파일을 만들어놓고 사용하면 더 편한다.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ppa 설치 (0) | 2016.04.19 |
---|---|
우분투 오라클 자바8설치 (0) | 2016.04.19 |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0) | 2016.04.19 |
libreoffice ppa 한글 설치 (0) | 2016.04.19 |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해시 합이 맞지 않습니다 (0) | 2016.04.1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ibus 1.5.x 에러 (0) | 2016.04.1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Warning:Project is building density based multiple APKs but using tools version 19, you should upgrade to build-tools 21 or above to ensure proper packaging of resources.
tools-android-sdk manager
android sdk-sdk tools에서
show package detail체크
sdk build tool 버전 21.x.x 선택-설치
프로젝트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open module settings
build tools version을 21로 선택
project-rebuild project
'컴퓨터 IT >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Unable to run mksdcard SDK tool. (0) | 2016.04.19 |
---|---|
you should upgrade to build-tools 21 (0) | 2016.04.19 |
우분투 소프트웨어센터에서 설치하면
과거의 버전이 설치된다.
최신의 버전을 설치하려면 ppa방식으로 설치하면 된다.
$ sudo add-apt-repository ppa:libreoffice/ppa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libreoffice
$ sudo apt-get install libreoffice-l10n-ko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오라클 자바8설치 (0) | 2016.04.19 |
---|---|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0) | 2016.04.19 |
libreoffice ppa 한글 설치 (0) | 2016.04.19 |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해시 합이 맞지 않습니다 (0) | 2016.04.1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ibus 1.5.x 에러 (0) | 2016.04.19 |
apt-get version확인 (0) | 2016.04.19 |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해시 합이 맞지 않습니다
sudo apt-get update
명령을 실행하는 중에 위의 에러가 발생한다.
업데이트 서버가 한국지역서버로 설정되어있어서
그럴 수 있다.
시스템-소프트웨어업데이트도구 실행
ubuntu서버 탭에서 다운로드 위치를 "주서버"로 바꿔준다.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0) | 2016.04.19 |
---|---|
libreoffice ppa 한글 설치 (0) | 2016.04.19 |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해시 합이 맞지 않습니다 (0) | 2016.04.1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ibus 1.5.x 에러 (0) | 2016.04.19 |
apt-get version확인 (0) | 2016.04.19 |
vmware 9 ubuntu 14.04 에서 shared folder 불가능 (0) | 2015.01.1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ibus 입력기가 1.5.11이하이면
잘못된 동작이 나올 수 있다고 해서
1.5.12를 dev 패키지로 설치 시도.
하지만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의존성 에러, apt-get과의 충돌 등등
실행스크립트에
export XMODIFIERS=""
를 넣으면 실행은 되지만
한글이 입력이 되지않았다.
그래서 다른 방법으로 해결했다.
한글 입력기를 하나 더 설치.
uim을 설치했다. 설치하는 방법은
sudo apt-get install uim uim-byeoru
시스템재시작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는 더 이상 경고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다.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0) | 2016.04.19 |
---|---|
libreoffice ppa 한글 설치 (0) | 2016.04.19 |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해시 합이 맞지 않습니다 (0) | 2016.04.1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ibus 1.5.x 에러 (0) | 2016.04.19 |
apt-get version확인 (0) | 2016.04.19 |
vmware 9 ubuntu 14.04 에서 shared folder 불가능 (0) | 2015.01.19 |
apt-show-versions <package>
'컴퓨터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에서 ntfs 마운트가 제대로 안될 때 (0) | 2016.04.19 |
---|---|
libreoffice ppa 한글 설치 (0) | 2016.04.19 |
파일을 받는데 실패했습니다 해시 합이 맞지 않습니다 (0) | 2016.04.19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ibus 1.5.x 에러 (0) | 2016.04.19 |
apt-get version확인 (0) | 2016.04.19 |
vmware 9 ubuntu 14.04 에서 shared folder 불가능 (0) | 2015.01.19 |